청년도약계좌에 대하여 지난 5월 6일 공유드린 내용에서 드디어 6월 15일부터 신청을 시작하였습니다. 오늘 은행별 금리와 함께 신청 기간등 자세한 사항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은행별 금리 비교
기존 금리가 기대 이상 높지 않아 정부가 공지한 금액 마련이 어렵다는 뉴스에서 방송됨에 따라 은행의 금리가 다소 조정되었다는 이야기는 있으나, 현재 공지된 금리는 6% 대로 나름 높은 금리로 책정이 되었습니다.
- 청년도약계좌는 총 11개 금융권에서 발행이 되면서 기본금리 4.5% 인 금융권 중심으로 우대금리 및 상세한 내용은 직접 확인하여
보시면 타 은행보다 우리은행 및 신한은행이 보다 수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우리은행 조건을 보면
▶ 청년도약계좌 가입 및 신청
2023년 6월 15일 9시부터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기존 나온 청년지원 계좌 중에 소득기준이 유연하여 많은 분들이 신청할 것으로 예상되나, 300만 명 선착순 기준으로 진행이 됩니다.
신청 자격 및 총급여 소득별 정부지원금등의 상세 내역은 기존 정리하여 공유드린 자료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납입금액 별 만기금액은?
월 납입 가능금액은 총소득에 맞추어 다르지만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년 최대 84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 자유적립식으로 납입하는 방식으로 월 납입금액은 연단위 소득금액 기준으로 변동되며, 본인의 경제적인 상황에 따라 납입금을 축소 또는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해당 정부 지원 관련 저축 상품은 기본 금리 4.5% 의 정부지원금 및 추가 우대금리등의 다양한 금리 효과를 볼 수 있는 상품이다 보니 자격조건이 된다면 무조건 가입을 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 예시) 개인 소득 2,400만원 이하
상기 금액에서 정부기여금 및 정부기여금 이자 차이로 각 납입금액별 실수령액을 계산하여 보시면 됩니다.
가입신청을 마치고 나면 개인소득, 가구소득 심사를 진행하여 최종 승인여부가 결정됩니다. 승인된 후 7월에 계좌개설을 하고 불입이 시작됩니다. 5년이란 장기간의 저축으로 현재 소득기준으로 납입하기보다는 월 소득금액을 늘리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고민하여 5년 동안 납입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합니다.
많은 청년들께서 금번 정부지원 계좌 개설과 관련하여 혜택을 보시길 바랍니다.
'금융 >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뜰교통카드 혜택과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07.03 |
---|---|
한전 에너지 캐시백 소개와 신청방법 (1) | 2023.06.19 |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05.18 |
청년도약계좌!! 6월중 출시 예정. 자격과 지원금 확인 (0) | 2023.05.06 |
국민체력100 의 스포츠 활동 인센티브 알아보기 (0) | 2023.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