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 연금 1,500만 원 초과 인출하면 세금 불이익 있을까?
본문 바로가기
금융

사적 연금 1,500만 원 초과 인출하면 세금 불이익 있을까?

by 잘란부장 2025. 4. 28.

사적 연금이 많지 않은데도 세금부터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사적 연금을 연 1,500만 원 초과 인출해도 대부분 큰 불이익이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적 연금이란 무엇인지, 1,500만 원 초과 인출 시 세금 불이익은 어떤지, 세금 불이익을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그에 앞서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그리고 그 상관된 내용에 대하여 개별 자세한 블로그 글을 아래 링크로 다시 공유드리니 사전에 먼저 숙지하시고 본 글을 읽으시길 추천드립니다.

 

 


사적 연금이란?

사적 연금이란, 국민연금이나 공무원연금 같은 공적 연금을 제외한 개인이 가입한 연금 상품입니다. 다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모든 개인연금이 사적 연금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사적 연금에는 세액 공제를 받은 금액과 연금 계좌 내 발생한 수익만 포함됩니다.

 

  • 포함 : 연금저축, IRP 계좌의 세액공제분 및 수익
  • 제외: 퇴직금 원금, 세액공제받지 않은 금액, 구 개인연금, 연금보험, 변액연금
    특히 퇴직금은 원금은 제외되지만, 퇴직금에서 나온 수익은 사적 연금에 포함된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공적,사적 연금 비교표

 

 


사적 연금 인출 순서와 계산법

연금 인출은 다음 순서로 진행됩니다.

  1. 세액 공제받지 않은 자금
  2. 퇴직금 원금
  3. 세액 공제받은 금액
  4. 계좌 수익금

세액공제 X 원금 → 퇴직금 원금 → 세액공제 받은 금액 → 수익금 순서대로 인출!

여기서 3번과 4번이 사적 연금에 해당되며, 연간 총 1,500만 원 초과 인출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적 연금 1,500만 원 초과 인출 시 세금은?

사적 연금을 여러 계좌(IRP, 연금저축 등)에서 합산해 연 1,500만 원을 초과하여 찾으면 선택해야 합니다.

  • 16.5% 분리 과세: 인출한 전액에 대해 16.5% 기타 소득세 부담
  • 종합 과세: 다른 소득과 합산해 세율 적용 (소득 적으면 세금이 적음)

    예시:
    월 200만 원씩, 연 2,400만 원 인출 시
    - 분리 과세 선택: 396만 원 세금 발생
    - 종합 과세 선택: 소득에 따라 100만 원 안팎으로 줄어들 수도 있음
  • 종합 과세를 선택하면 연금 외 다른 소득이 많지 않은 경우 세금 부담이 오히려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국민연금과 사적연금을 함께 받을 경우는?

  • 국민연금 월 100만 원 + 사적 연금 월 200만 원 수령
  • 종합 과세 시 총 연금 소득 : 3,6000만 원
  • 세금 계산 후 최종 세액은 약 104만 원 정도 발생

배우자나 부모님 부양가족 공제를 적용하면 세금을 추가로 줄일 수도 있습니다.

 


사적 연금 한도 초과 인출, 걱정할 필요 X

사적 연금이 수억 원 정립된 경우라도 인출 전략만 잘 짜면 큰 세금 부담 없이 수령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소득이 많으면 1,500만 원 이내로 인출
  • 다른 소득이 없다면 필요한 만큼 인출 후 종합 과세
  • 55세 이후 연 1,200만 원씩 인출하고 남으면 상속 가능

연금을 많이 정립해 걱정하는 것보다, 연금이 부족해 걱정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걱정보다 차곡차곡 정립하는 데 집중하세요!

 

오늘도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 !!!

잘란부장이었습니다.

 

반응형

댓글